대기업에서 Steemit을 활용한 마케팅을 한다면... 어떤 변화가 있을까?

꽃길만 걷즈아.gif.gif

안녕하세요 Joey Park 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에 들어온지 8개월, 스팀잇을 시작한지 7개월이 된 시점이네요.
7개월 간 스팀잇을 하면서 직접 부딪히며 많이 배웠던 것 같습니다.

steemit.png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스팀 파워(Steem Power)를 많이 보유하면 보팅 금액이 늘어납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가총액이 금일 기준 약 4,200억 원인 스팀을

d.png

(아래는 가정입니다.)
현대자동차에서 1,000만 스팀(한화 약 150억 원)을 매수해서
kr-motors, kr-hyundai 또는 kr-kia 태그를 만들고
자동차 구입 후기를 스팀잇에 올리면
'약 100만 원 정도의 보팅을 해주는 마케팅을 하면 어떨까?'
라는 상상을 해봅니다.

forex-1816365_1280.jpg

투자자 입장에서
우선 대기업이 스팀잇에서 활동을 한다는 자체가
스팀 코인에 단기 호재로 작용하고
그것이 시발점이 되어 여러 기업에서 마케팅을 벤치마킹하여
기업 단위의 매수세가 붙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rwzlvdrkytbbruwkfu4g.png

기존 유저 입장에서
kr-motors, kr-hyundai, kr-kia 태그가 만들어지는 것을 처음에 보게 될 것이고
태그의 보상 금액이 늘어남에 따라서 관심이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이 분들이 기존 유저와 마찰없이 잘 정착한다면
kr-community가 더 커지고 스팀잇의 가치는 더 올라가겠죠

d.jpg

기업 입장에서
기업은 스팀 코인 매수 후 가격 하락 리스크가 제일 부담이될 것입니다.
하지만, 스팀 코인 매수 후 스팀잇의 보팅 시스템을 이해한다면
기업에서 고객에게 돈이 나가는 것이 아닌
새로 발행되는 스팀과 스팀달러를 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기업은 보유한 코인의 시세 변동에 대한 리스크만 감당하면 되는 거죠.
그리고, 고객의 후기를 통해 상세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1석2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기에 더 나아가서 SMT 모델까지 접목시킨다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많이 쏟아져 나올 것 같습니다.(행복회로 타 버림...)

light-bulb-1042480_1280.jpg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은 그냥 제가 펼쳐본 상상입니다 ㅎㅎㅎ
상상한대로 토큰 이코노미가 흘러가지 않을 수도 있어요.
물론,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직접 해보지 않는 이상 어떻게 흘러갈 지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삼성전자에서 스마트폰을 이런식으로 마케팅하면 좋을텐데...)

밤이 깊었네요~
편안한 화요일 밤 되시길 바랍니다 (:

리스팀하시고 댓글 남기시면 댓글에 행운의 $0.07 보팅합니다^^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10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