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블록체인] 누가 블록체인을 통제 해야하는가 ? (채굴자?/토큰홀더?/세력?) : 비트코인,이더리움의 부당함은 EOS의 창조와 혁명의 디딤돌이다.

안녕하세요 EOS 서포터 크리머 입니다 :)

  • 이 글은 스팀잇에 2017년 8월에 소개됬고 2018년 2월에 EOS 미디엄에 다시 한번 소개 된 글을 번역한 글 입니다.

  • 한번 쯤은 깊게 생각 해보면 좋을것 같아 올립니다.

스크린샷 2018-04-01 10.58.24.png

[누가 블록 체인을 통제 해야하나?]


[토큰 홀더들 : DPOS]

  • 이 모델은 EOS에 의해 채택된 모델로서, 직설적이며 유권자와 투표 결과에 대해 각각 100 % 조정과 책임을 창출합니다. 이 기술은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투표 모델입니다.

대의 민주주의(representative democracy)를 말하는 것이며 구성원들에 의한 선거 등의 절차로 대표를 선출해 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는 민주주의 제도 이다. 현대에는 직접 민주제보다 선호되는 모델이다.

  • 헌법을 토큰 소유자 투표권을 결합함으로써 EOS는 모든 사람의 기대치를 관리하고 의사 결정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네트워크 통제권을 복원 할 수 있는 수준을 정의합니다.

[토큰 소유자가 아닌 사람들 : POW]


  • 만약 여러분이 토큰 소지자의 투표를 허용하지 않으면, 그것은 다른 사람이 투표권을 행사 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이 모델은 토큰 소지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지 않을 수 있는 결과수익자와 의사결정자들 사이에서 나누게 됩니다.

  • 예를 들면 영국 국민이 미국 정부를 위해 미국 시민권자들을 대신하여 투표하는것과 비슷한 구조이며, 결과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아닙니다.

  • 이것은 오늘의 Bitcoin과 Ethereum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있는지를 말합니다.

  • POW(작업 증명 방식)은 신속하게 중앙화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하드웨어와 전기 모두 대량으로 사용해야 비용이 적기 때문에, 이것이 바로 채굴풀을 만들었습니다.

  • 이것은 과두정치를 야기하며, 그들의(채굴풀) 행동에 대한 책임이 거의없게 만들며, 그들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받지 않게 됩니다.

과두제는 자산, 군사력, 정치적 영향력 등을 지닌 소수의 사회 구성원들에게 권력이 집중된 정부의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지배계층 중에서 경제적으로 우월한 자들이 권력을 독점하면서 성립되며, 소수의 권력을 지닌 가문들의 후계자들이 권력을 계승하는 형식으로 유지된다

[토큰 홀더들에게 투표권이 없을 경우의 상황]

  • 몇가지 예를 들어 봅시다. 우리에게 다른이들(그룹들)이 우리를 대신하여 투표를 했을때의 위험 들에 대해서 가르쳐 줍니다.

비트코인 스케일링


  • 2015-2017년 사이에 블록 제작자들은 네트워크 용량이 꽉차는동안 제한된 블록 크기를 늘리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 그렇게 했던 이유는 높은 거래 수수료가 부과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였습니다.

이더리움:DAO


  • 지배적인 채굴풀은 정보와 의사 결정을 소수에게만 국한시켰습니다.

  • 그러한 결정을 내릴 수있는 투명성이나 공개적 틀의 부재의사 결정에 파급 효과가 거의없는 의사 결정권자에게 부적절한 거래 기회를 가져다줬습니다.

대리인없는 과세


  • 1750 년대, 영국 정부는 의회에서 미국 식민지들에게 투표권을 허락하지 않은체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 이러한 부당함은 궁극적으로 미국 혁명과 미국의 창조를 이끌었습니다.

크리머 사견 : POW 방식의 부당함은 결국 DPOS 방식을 사용하는 EOS 창조를 이끌었고 곧 EOS 혁명을 이끌 것 입니다.

투표 카르텔


카르텔 : 기업연합의 형태로 같은 산업에 존재하는 기업들 간의 자유경쟁을 배제하여 독과점적인 수익을 올리기 위해 시행하는 부당한 공동행위를 의미한다.

  • 모든 블록 체인은 투표 모델에 관계없이 큰 영향력을 가진 세력에게 민감함을 보입니다.

  • [토큰 소유자 투표 모델 : DPOS]은 [채굴자 / 토큰 미보유자 투표 모델]보다 더 탄력적입니다.

  • [토큰 보유자 투표]는 카르텔들을 투표 결과에 종속시킵니다. 그들의 토큰은 또한 그들의 지분 크기로 인해 네트워크의 인지된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투표가 다른 당사자들에게 주어지는 모델]에서는, 카르텔을 방해 할 수 없습니다.

  • 그들은 그들의 결정들에 대한 책임을 지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법으로 신속하게 네트워크 의사 결정권을 손에 쥐게 됩니다.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글을 마치며.


  •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토론의 장이 열렸으면 합니다 :)

  • [누가 블록체인을 통제 해야하는가?] 와 관련된 댓글을 달아주신 분들께 미약하지만 풀보팅 갑니다 !

크리머 글 알람 받기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EOScreamer
(채팅/리딩/가격 X 알람 기능 O)


이오스 보팅짤.png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