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mmerlin님과의 작은 만남을 가졌습니다.

먼저 여러 가지 insight를 제공해주신 @mmerlin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결국 steem, sbd를 활용한 economic ecosystem을 구성하는 것을 로드맵으로 하여 움직여 나가야 할 일 같은데, 정말 많은 고민을 하셨을 것 같은 아이디어들을 선뜻 보여주셔서 #kr#steemit의 발전에 얼마나 @mmerlin님이 생각하시고 기여하고자 하셨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먼저 이루어져야 할 부분들이 몇 가지 보입니다. 단순히 스팀잇 방송국을 만드는 것 아니라, 별도의 수많은 채널들이 모이고 자본이 모여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asbear님의 steempay등의 생활형 서비스를 더욱 확장하고 @gopaxkr등의 거래소가 PG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역시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무엇보다 이 아이디어가 돌아가기 위해서는 SMT가 완벽하게 구동되어야 할 텐데, @virus707님의 SMT 프로젝트와의 연계를 하는 것 역시 생각해 볼 만한 일이라고 봅니다. 먼저 필요한 것은 @asbear님이나 @ludorum님과 같이 거래소 계정과의 협업 플랜을 통한 PG/VAN-SBD간 통합결제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Todo's

  1. Steem Ecosystem Roadmap
  2. PG/VAN - SBD 연계 제안서 및 거래소와의 협업 플랜 제시
  3. #kr을 비롯해 다량의 SP 홀더와의 협업 (Delegation)
  4. SMT 작업 및 개발 작업 > LiveStream 등의 콘텐츠 플랫폼 개발
  5. 기존 SBD 결제 가능 업체의 통합
  6. Muksteem 등과의 서비스 연계 통해 결제 시도
  7. Steem Street 등으로의 확장 시도
H2
H3
H4
Upload from PC
Video gallery
3 columns
2 columns
1 column
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