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사진)입니다.
제 포스팅이 마음에 드시면 위에 후오비 광고
무료 캠페인 사진을 눌러주세요^^
안녕하십니까, 레오(@leeyh)입니다.
이제 2018년도도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오늘 오전에 KR피드에는 "네드는 어디갔느냐"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습니다.
(두서 없이 업무중에 수필처럼 쓴 글이라 틀린 내용도
있을겁니다. 그냥 편하게 읽어주세요^^)
올해 1월에 암호화폐 붐이 불때 거품논쟁이 있었죠
그때 가끔 거론된 코인이 STEEM이었습니다.
거의 유일하게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코인이라는
문구와 함께 글을 쓰면 보상을 받는다는 컨셉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로 많이 소개되었습니다.
언론에서도 STEEM은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도하고는
했습니다.
실생활에서 활용이 되고 신참 작가들이 보상을
받을수 있는 유용한 플랫폼이라는 칭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가장 실용적인 코인은
BNB와 HT같은 거래소 토큰인거 같습니다.)
거기다 이미 토큰도 아닌 독립된 코인이었습니다.
다른 코인들이 전송시간 랙이 걸리고 가스비가
나올때도 스팀은 전송속도 빠르고 수수료 없고
SNS로 소통도 되는 혁신적인 암호화폐 결제수단으로
보여졌습니다.
코인평가 랭킹에는 항상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스팀잇이라는 자체 SNS를 보유하고 있고
코인에 대한 정보도 가장 많은 SNS였습니다.
네드는 올해안에 SMT를 출시한다고 했습니다.
2018년 말이면 다른코인과 차별화를 이루면서
스팀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완만하게 상승하리라
기대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스팀의 현실은 올해 1월 기대감에
비하면 너무나 초라한거 같습니다.
물론 스팀만의 문제는 아니라 봅니다.
일단은 코인시장이 너무나 침체된거 같습니다.
솔직히 요즘은 DPOS라는게 과연 이상적인가
의구심까지 듭니다.
어쩌면 ERC-20처럼 가스비 받는게 더 현실적이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애초에 ICO를 하지 않았던 스팀재단은 스팀을
팔아서 현금화 하지 않으면 재원이 없을거
같습니다.
물론 ICO를 하지 않았기때문에 SEC의 규제를
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EOS는 ETH로 ICO를 했기때문에 문제가 생기면
SEC와 FBI의 수사를 받게됩니다.
ETH도 ICO를 한게 아니라 POW방식 코인이었기
때문에 SEC는 Pow코인에 대해서는 규제하지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어쩌면 ETH처럼 POW로 규모를 키우고 어느정도
규모에 달성하면 하드포크후에 POS로 가는게
더 맞는게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그나마 스팀잇에 희망을 걸고 있는것은 SMT인데
스팀잇 재단의 자금사정으로 SMT-lite로 변경되고
일정도 변경이 되는거 같습니다.
@dStors 라는 걸출한 pre-SMT가 기대를 하게
하고 있어서 그나마 안심을 시키기는 합니다.
디스토어, 스팀헌트, 트립스팀, 테이스팀, 북이오, 아티스팀, 스팀몬스터 등등
모든 댑들이 더 성공하길 바라고 스팀을 떠나지 않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오늘은 후오비 코리아에 단독상장된 WGP코인을
리뷰해 보았습니다.
https://www.huobi.co.kr/ko-KR/notices/420 (후오비코리아 단독상장)
http://bit.ly/2QwjzTB (후오비 단독상장 이벤트)
http://bit.ly/2QAZ8VW (후오비 코리아 원화마켓 오픈 기념 수수료 무료 이벤트)명칭 : W Green Pay (WGP)
투자사: YG Investment, Naver, Daehyun Accounting Firm, HEXA Labs, ICON, LedgerZ Capital, etc
플랫폼: ERC-20
공식사이트: http://wpay.sg
백서: http://wpay.sg/WGreenPay-whitepaper-v2.0.pdf
요약: 'WGP을 발급한 W재단은 2012년에 창립하여 6년 넘게 활동해온 재단입니다.
WGP는 HOOXI몰이나 파트너 채널에서 지급 결제 수단으로 사용 가능
#후오비
#후오비코리아
#가상화폐거래소
#비트코인거래소
#비트코인
#가상화폐
#Hooxi
#WGP
#W재단
#W그린페이
#huobi